“돈을 잃어도 괜찮지만 평판은 잃어선 안돼”
[조선일보]
지난 6월 재산의 85%인 374억 달러(37조원)를 자선기금으로 출연해 세상을 놀라게 했던 75세의 노(老)신사 워런 버핏(Warren Buffett). 그에게는 ‘월가의 양심’, ‘황금 손’, ‘살아 있는 투자의 전설’ 등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다. 버핏이 1965년 인수한 투자회사 버크셔 헤서웨이는 코카콜라(지분율 8%)·질레트(9%)·아메리칸익스프레스(11%) 등 초일류 다국적 기업의 최대 주주이며, 미국 증시에서 주당 10만 달러(1억원)선을 넘나드는 황제주로 꼽힌다. 버크셔 헤서웨이는 1965년부터 40여 년 동안 투자수익률이 시장평균수익률(S&P500)을 밑돈 적이 단 3번에 그쳤을 정도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왔다.
1956년 단돈 100달러로 투자를 시작한 워런 버핏이 오랜 세월 왕좌를 지켜온 비결은 ‘가치투자’라는 투자원칙과 함께 CEO로서의 탁월한 리더십에서 찾을 수 있다.
버핏은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덕과 두려움, 그리고 탐욕이 이끄는 대로 가치를 평가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을 내재가치에 따라 평가한다”는 스승 벤 그레이엄의 가르침을 투자철학으로 삼았다. 그는 가치 있는 주식을 발굴해 사들이고, 이를 10년, 20년이 지나도록 오랫동안 보유한다. 그래서 단기적인 주가 폭락에도 초조해하지 않았다.
버핏의 가치투자에는 원칙 중심이라는 리더십의 원리가 숨어있다. 올바른 인격과 성품을 기초로 단기적으로는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정해진 원칙을 고수해 부하 직원의 존경과 신뢰를 받는 것이 원칙 중심의 리더십이다.
소문과 유행, 투기성 매매가 성행하는 월스트리트에서 한가지 투자원칙을 고수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버핏은 가치투자라는 원칙을 어기지 않았다. 버핏은 1990년대 말 닷컴 버블이 한창일 때 인터넷 주식에 투자하지 않아 헤서웨이 주주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지만, 오히려 닷컴 버블이 붕괴되면서 그의 판단이 옳았다는 것이 입증됐다.
워런 버핏 리더십의 두번째 교훈은 엄격한 도덕성에 있다. 미래학자인 폴 케네디 예일대 교수는 “21세기 기업가는 성직자에 준하는 고도의 도덕성을 가져야 한다”면서 “경영자의 도덕성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말했다. 버핏은 아직도 1958년 3만1500달러를 주고 산 고향 오마하의 시골집에서 살고 있다. 그가 ‘오마하의 현자(賢者)’로 불리는 이유다. 그는 또 20달러짜리 스테이크나 햄버거를 먹고, 오래된 중고차를 직접 몰고 다니며, 12달러짜리 이발을 하는 등 세계 두 번째 부자라고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검소하다.
그는 돈보다 명성을 중요시한다.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돈을 많이 잃어도 괜찮지만 극히 작은 평판이라도 잃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버핏은 “사업상 하는 모든 일이 뉴욕타임스 1면에 나와도 떳떳할 수 있게 하자”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직원을 뽑을 때도 두뇌나 에너지보다 성실(Integrity)을 더 중요하게 고려한다. 정직하지 않은 사람을 채용하면 그 사람이 결국 회사를 망친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버핏의 리더십에서 배울 수 있는 세번째 교훈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임파워먼트(empowerment·권한이양)이다. 버핏은 투자한 회사의 경영자를 깊이 신뢰하고 쉽게 간섭하지 않는다. 또 버크셔 헤서웨이 내부 업무도 대부분 임직원들에게 맡긴다. “나는 실제로는 두 가지 일만 한다. 하나는 우리의 역할을 대신해 줄 경영자를 끌어들이고 잡아 두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권한의 분배다. 나는 과중한 모든 업무를 하부 경영진에게 위임했다. 퇴직 시점까지 권한을 위임할 것이다. 버크셔에는 3만3000명의 종업원이 있지만, 본부인력은 12명에 불과하다.”
(휴넷대표)
'★-돈버는 알짜정보 > 부자가 되는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는 누구나 된다 (0) | 2008.02.21 |
---|---|
백만장자를 만들어주는 다섯 가지 습관 (0) | 2008.02.21 |
2006년 한국의 100대 부자들 (0) | 2008.02.21 |
백만장자의 Keyword(마크 피셔 著) (0) | 2008.02.21 |
돈을 따르게 하는 7가지 법칙 (0) | 2008.02.21 |